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IFE] 불의 고리 대만 강진 발생, 지진 대피 요령 알아봐요.

정보

by 뚜리뚜바비 2024. 4. 3. 21:50

본문

 

불의 고리 대만 강진 발생, 지진 대피 요령 알아보기

오늘 대만에서 7.2의 강진이 발생했어요. 조속한 대처로 다치거나 실종되시는 분이 적기를 바랍니다. 

 

 


 

 

 2024년 4월 3일 대만 강진 발생

금일 대만 화롄현 남남동쪽 23km 해역에서 규모 7.2의 강한 지진이 발생했어요. 이 지진으로 최소 9명이 숨지고 800여 명이 다쳤다고 해요. 첫 지진 이후 10여분 뒤 규모 6.5의 여진이 이어졌고, 여진은 총 25차례가 넘게 발생했어요. 

2024 대만 강진

대만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있는 나라 중에 하나예요. 환태평양 조산대는 태평양 주변에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말해요. 일본에서 지진이 잦은 이유가 바로 이 환태평양 조산대 위에 있기 때문인데, 대만 역시도 환태평양 조산대 위에 위치해 있어요.

 

 

 

 

 규모와 진도

규모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절대적 개념의 단위예요. 미국의 지질학자인 리히터의 이름을 따서 리히터 규모라고 불러요. 리히터 규모는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측정해 지진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의 양을 측정해요. 

 

인간은 보통 리히터 규모 2보다 작은 지진은 잘 느끼지 못해요. 전 지구적으로 규모 2 이하의 지진은 하루에 약 8,000건 발생한다고 해요. 규모 4에서 4,9의 지진은 방 안의 물건들은 흔들리지만 심각한 피해를 입히지 않아요. 규모 5에서 5.9의 지진은 부실하게 지어진 건물에 심한 손상을 입힐 수 있고, 규모 6에서 6.9의 지진은 최대 160km에 걸쳐 건물들을 파괴해요. 규모 7에서 7.9의 지진은 넓은 지역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입혀요.

 

 

강도

진도는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대적 개념의 단위예요. 사람이 느끼는 지진의 정도와 건물의 피해 정도를 기준으로 나타내요. 피해 정도는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강도 역시 지역마다 달라요. 진도 1은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 전혀 느낄 수 없으며, 진도 2는 소수의 사람들만, 진도 3은 실내에서 현저하게 느낄 수 있는 상태이며, 진도 4는 실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어요. 진도 5는 거의 모든 사람이 느낄 수 있으며, 나무나 전신주가 흔들려요. 진도 6은 모든 사람이 느낄 수 있어요. 진도 7은 서있기 어려운 정도이며, 부실한 건물은 아주 크게 피해를 입어요. 진도 8은 건축물이 부분적으로 붕괴돼요.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

환태평양 조산대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약 40,000km 길이의 조산대(대규모의 습곡 산맥을 형성하는 지각 변동을 조산이라고 하고, 이런 지각 변동이 자주 일어나는 곳을 조산대라고 함)에요. 뉴질랜드에서부터 동남아, 일본, 알류샨열도, 북아메리카 로키산맥,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까지 이르는 말발굽 형태예요. 지구상의 지진과 화산 활동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 일어나 '불의 고리'라고 불리기도 해요. 지각을 이루는 판은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이 판의 경계는 판이 부딪혀 지진을 발생하기도 하고, 한쪽 판이 다른 쪽 판 아래로 들어가 산이나 협곡을 만들기도 해요. 

 

지구상의 지진 중 약 90%가 불의 고리 위에서 발생하고, 활화산 중 약 75%가 불의 고리에 분포해 있어요. 환태평양 조산대는 판 구조운동에 의해서 만들어졌어요. 보존형 경계인 산 안드레아스 단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렴형 경계에 해당해요. 

 

환태평양 조산대 위에 위치한 주요 화산은 안데스 산맥의 라이마 산, 코토팍시 산, 북미 대륙의 세인트헬렌스 산, 얄류산 열도의 클리블랜드 산, 오크목 산, 일본의 후지산,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 산, 뉴질랜드의 루아페후 산이 있어요. 

 

불의 고리 위에 있는 국가로는 칠레 서부, 미국 서부, 얄류산 열도, 캄차카반도, 쿠릴 열도, 일본 열도,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뉴질랜드가 있어요. 

 

 

 

 지진 시 대피 요령

집에 있을 때

-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해요.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1~2분 정도예요. 탁자나 테이블과 같이 튼튼한 가구 아래에 들어가 머리를 보호해요. 피할 곳이 마땅치 않을 경우 방석이나 베개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문을 미리 열어 출구를 확보해요. 흔들림이 멈추면 화재에 대비해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가스 밸브 잠그고, 전기는 두꺼비집 내리기) 무너짐으로 출구가 붕괴되어 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미리 열어둡니다. 

- 대피 시엔 꼭 신발을 신고 나가요. 

-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해요. 화재뿐만 아니라 지진이 났을 때도 엘리베이터가 멈추거나 고장 날 수 있으니 계단을 이용해 건물 밖으로 대피해요. 

 

밖에 있을 때

-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해요. 건물과 담장이 붕괴돼 다칠 수 있으니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대피해요.

-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해요.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해요. 차량은 이용하지 않는 편이 안전해요. 집 주변 대피할 수 있는 지진 대피소가 있어요. 미리 알고 있으면 좋아요. 포털 사이트 검색 창에 [지진 대피소]를 검색하면 현재 주변에 있는 대피소를 알 수 있어요.

 

엘리베이터에 있을 때

-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해 대피합니다.

 

백화점이나 마트에 있을 때

-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을 주의하고,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가 대피해요.

 

전철을 타고 있을 때

- 손잡이나 기둥을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전철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행동해요.

 

운전을 하고 있을 때

- 비상등을 켜고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편에 차를 세우고, 라디오를 청취하며 키를 꽂아 두고 대피해요.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

- 산사태, 절벽 붕괴에 주의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요.

 

아기와 함께 있을 때

- 아기와 함께 대피할 경우, 유모차보다는 아기띠가 훨씬 대피하는 데에 편해요. 아기띠를 상시적으로 준비하고, 아기 신발도 꼭 신겨서 대피해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