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이 커지면서 서서히 몸에 변화가 나타납니다. 초기 유산의 80%가 이 시기에 일어나므로 각별히 주의하고 모든 면에서 안정된 생활을 해야 합니다.
1. 얼굴 윤곽이 잡힙니다.
색소가 모여 눈동자가 까맣게 되며 눈꺼풀이 생기고 코, 입술, 턱, 뺨의 근육이 발달합니다. 이목구비가 생기고, 팔과 다리의 구분도 확실해져 팔에서 손목과 손가락이 나타나며 다리에서 허벅지, 무릎, 종아리, 발, 발꿈치 등이 분화합니다. 탯줄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고 소변을 배설하기도 하며, 심장과 간 등의 조직이 발달합니다.
2. 태아기가 시작됩니다.
임신 8주가 되면 꼬리가 완전히 없어집니다. 이전까지 배아라고 부르다가 비로소 태아라고 부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배아기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 물질에 쉽게 영향을 받아 기형 발생률이 높지만, 태아기에는 기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태아기로 접어들었다는 것은 성장이 필요하고 중요한 신체 기관이 무사히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그 밖의 변화
뇌세포가 폭발적으로 발달해 임신 3개월이 되면 뇌 기능은 대부분 완성됩니다. 단, 뇌의 모양은 태어날 때까지 계속 변화합니다. 탯줄이 완성되어 양수 안을 자유롭게 떠다니고, 피부에 무언가 닿으면 촉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예민해집니다. 손가락 끝에 미세한 지문이 만들어지고, 외성기가 발달해 남녀 생식기에 차이가 생깁니다.
1. 허리선이 변합니다.
자궁 크기가 어른 주먹만 해져서 방광이나 직장을 압박합니다. 이 때문에 소변이 자주 마렵고 가스가 많이 나오면서 변비 증세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직 눈에 띄게 배가 부른 것은 아니지만, 아랫배에 손을 대면 단단하면서 조금 부푼 듯한 느낌이 듭니다. 사람에 따라 기존에 입던 바지가 꼭 끼거나 불편할 정도로 허리가 굵어진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2. 유방이 부풀고 분비물이 생깁니다.
유방이 단단하게 부풀어 오르면서 옷에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느껴집니다. 간혹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하는데, 호르몬의 작용이므로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기름 성분의 분비물이 나오는데, 이는 유두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함으로써 태어날 아기에게 젖을 먹이기 위한 준비 과정의 하나입니다.
3. 감정 기복이 심해집니다.
생리하기 전 증세와 비슷하게 감정 기복이 심해집니다. 임신했다는 사실에 부담을 느끼거나 불안하고 두려우며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또 이유 없이 눈물이 나며 갑자기 우울해지기도 합니다. 이는 모두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그 밖에 헛배가 부르고 몸이 붓거나 소화가 안 되고 가슴이 두근거릴 수 있습니다. 앞으로 임신 40주 동안 적응해야 할 몸의 변화이므로 감정 변화에 민감해지지 말고 마음을 편안히 갖도록 노력합니다.
4. 질 분비물이 늘어납니다.
자궁 경부의 내분비샘 기능이 임신 전보다 활발해지고, 질벽과 자궁 입구가 부드러워지면서 질 분비물이 늘어납니다.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땀이 많이 나므로 청결을 유지하고, 꼭 조이는 거들이나 바지는 입지 않습니다. 분비물이 흰색이나 담황색이라면 걱정할 필요가 없지만, 분비물에서 악취가 나거나 연녹색을 띠면서 가려움이 동반되면 질염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합니다.
1.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합니다.
규칙적 식사와 배변 습관을 들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자주 먹어 변비를 예방합니다. 섬유질을 풍부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채소나 과일을 씹어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주스는 갈고 짜는 과정에서 섬유질이 상당 부분 파괴되며, 특히 시판 주스는 당분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2. 비타민 섭취에 신경을 씁니다.
비타민 A는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고, 비타민 B1은 신경 기능을 조절해 주며, 비타민 D는 칼슘과 인의 흡수와 뼈의 발육을 도와줍니다. 비타민 E는 근육 수축을 방지하며, 비타민 K는 혈액 응고 작용을 하는 데 꼭 필요합니다. 이 비타민은 체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음식으로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3. 알코올, 카페인, 약물 복용을 피합니다.
임산부가 받아들인 물질은 1시간 이내에 태아에게 전달되므로 알코올과 카페인, 의약품의 복용은 가급적 피하고, 니코틴이나 X선 촬영도 자제합니다.
4. 면 속옷을 입고 청결을 유지합니다.
임신 기간에는 몸을 조이지 않고 배를 덮는 넉넉한 크기의 면 소재 속옷을 입습니다. 분비물이나 출혈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속옷 색깔은 흰색이나 연한 것이 좋습니다. 질 분비물이 진노랑이나 붉은색을 띠고 가렵거나 냄새가 난다면 질염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병원에 갑니다.
5. 유산하기 쉬운 시기이므로 각별히 주의합니다.
아직 배가 부르지 않아 활동하는 데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하다 보니 몸을 격렬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신 초기는 유산의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로, 항상 조심해서 움직여야 합니다. 무거운 것을 들거나 높은 곳에 손을 뻗거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오랜 시간 서 있지 않도록 합니다. 또 몸을 항상 따뜻하게 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마음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것도 잊지 않습니다.
초기 정밀 초음파 검사 : 보통 임신 11~14주에 실시하며 정상적으로 임신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아의 머리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측정해 태아의 발달 정도를 체크하고 출산 예정일을 산출합니다. 태아의 후두 경부를 촬영해 목뒤의 두께가 3mm 이상인 경우 유전적 결함(다운증후군 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출처 : 임신 출산 대백과
[출산] 초기 / 임신 2개월(5~8주) (0) | 2024.01.08 |
---|---|
[출산] 분만 산부인과 선택하기 (0) | 2024.01.08 |
[출산] 우리나라 임산부 지원 제도 (0) | 2024.01.08 |
[육아] 이른둥이의 운동 발달 촉진 (0) | 2024.01.08 |
[육아] 이른둥이 운동 발달의 질적 문제(4)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