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육아] 2세, 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적 OO 이다?

육아

by 뚜리뚜바비 2024. 4. 14. 22:02

본문

2세, 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적 OO 예요!


 

언어 습득 결정적 시기


 영유아의 언어 습득

아동의 언어 발달은 2세 전후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3세를 전후로 간단한 문장을 발화하며, 4세 전후 숫자를 사용할 수 있어요. 또, 6살 전후로 가정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6세에서 12살에 이르는 기간 동안 언어 능력을 본격적으로 갖추는 것을 보고 있어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의 폴 톰슨 교수, 제이 지드 박사, 로저 우즈 박사는 핵 자기 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한 관찰을 시작했어요. 바로, 3살부터 15살 사이의 어린이의 뇌의 성장 과정을 4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것이에요. 이를 토대로 뇌 성장 지도로 작성해 네이처지에 발표했어요. 여기서 핵 자기 공명영상장치란 자기장 속에 놓인 원자핵이 특정 주파수의 전자기파와 공명하는 현상이라고 해요. 

 

이 연구에 의하면, 어린이는 ① 3살부터 6살 사이, 그리고 ② 6살과 13살 사이를 전후로 두뇌 발달이 단계적이고 국부적으로 시차를 두고 두뇌의 성장이 전두옆 앞부분에서 언어를 관장하는 뒷부분으로 옮겨간다는 것이에요. 약 13살부터 15살에 이르는 동안, 운동 신경을 담당하던 뇌의 회로 50%가 언어를 관장하는 부분으로 재배치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어요. 

 

 

 

 베일리 검사

베일리 아동 발달 검사는 아동의 현재 발달 기능을 검사하여 수준을 측정하고, 지적 능력과 운동 능력의 지연 정도를 수치화해 행동 특성을 비교하는 검사예요. 생후 1개월부터 생후 42개월까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며, 또래 아동들의 평균 발달 수준과 비교해 다양한 측면에서 발달을 측정해요. 검사는 정신 척도, 운동 척도, 행동 평가 척도로 구성되며, 인지와 언어, 사회성, 운동 발달 영역을 측정해요. 총 300문항 정도이며, 아이가 자연스럽게 놀이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부모가 제공된 문항지에 체크를 함으로써 검사를 진행해요.  이 검사로 아이의 언어 발달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할 수 있어요. 검사 진행 시간은 한 파트당 30~40분 혹은 1시간 정도가 소요돼요.

 

 

 

 13~24개월 아기의 언어 발달

이 시기의 엄마들이 가장 많이 하는 걱정 중 하나가 바로 우리 아기는 왜 이렇게 말이 느리지? 단어를 잘 말하지 못하는데 우리 아이만 느린 게 아닐까? 인 것 같아요. (제가 지금 이 시기예요) 그렇다고 아이를 앉혀두고 단어를 하나하나 가르쳐 주기에 우리 아기는 집중력도 낮고 제 말도 집중해서 듣지 않는 것 같아 더 걱정이 돼요. 걱정스러운 마음에 낱말 카드와 단어를 배울 수 있는 놀이 도구만 주야장천 구입하는데 이 마저도 관심이 없어요.

 

이 시기 아기들은 엄마와 맘마, 한 단어를 말하는 시기를 넘어 두 단어를 결합해 사용하는 시기라고 해요. 전날까지도 사용하지 않았던 단어를 갑자기 말하거나 호칭을 부르는 식으로 활발한 언어 표현과 활동을 시작한다고 해요.

 

12~18개월 사이에는 단어의 사용 빈도가 계속 늘어나 알고 있는 단어의 수준도 하루가 달리 높아져요. 13개월에는 뜻 없는 소리를 혼자 재잘거리며 14개월엔 말할 수 있는 단어가 늘어나며, 의사소통도 발달해요.

 

18개월 무렵에는 말문이 트이는 시기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하나씩 이야기할 수 있고, 말의 전달과 이해가 좋아져요. 엄마의 간단한 지시사항을 따를 수 있으며, 다른 뜻을 가진 두 단어를 결합해 사용할 수 있어요.

 

20개월이 넘어가면서부터는 표현할 수 있는 단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21개월에는 약 서른 개의 단어를 말할 수 있고, 신체 부위의 단어를 가리킬 수 있어요.

 

24개월에 이르면 서너 개의 단어로 된 문장을 말하며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어요. 1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특징은 그림책을 보고 듣기, 동요를 따라 부르기, 끊임없이 말하기예요.

 

 

 

 결정적 시기

전문가들은 언어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13개월에서 24개월을 꼽아요. 이 시기에는 급격하게 언어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라 결정적 시기라는 타이틀이 붙었어요. 대뇌의 발달은 언어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신경세포들이 서로를 활발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만들며 단어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아기들이 천천히 성장하는 것처럼 보여도 이 시기에 가장 많은 어휘를 습득해요.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하는 핵심적인 단어의 대부분을 익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우리가 외국인과 대화할 때 약 500개에서 1,000개의 단어를 알면 일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다고 하는데, 24개월 무렵 아이들이 습득하는 단어가 약 300개예요. 아기가 발화하는 단어는 몇 개 혹은 몇 십 개에 불과하지만 뜻을 익히는 것, 어떤 상황에서 말해야 하는 지를 배우는 지 등의 단어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까지 습득하는 중이라고 생각하면 더 많은 단어를 배우고 있는 중이에요.

 

이 시기를 놓치면 몇 배의 시간이 걸려, 이 시기에 자연스럽게 올바른 단어를 알려주어야 해요. 이 시기에 제대로 된 언어를 배우지 못한 아이들은 언어 발달이 뒤쳐져 또래 관계에 문제가 생기기도 해요. 이로 인한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요. 또한 자기 자신이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말하지 못하면 짜증이 늘고, 불안해하거나 과격해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말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할 수도 있어요.

 

 

 

 13개월 아기 엄마의 사담한 줄

11개월 진행한 베일리 검사에서 발화하는 언어가 하나도 없어 (거의 옹알이 수준) 언어 발달 부분이 지나치게 느리다는 소견을 받아 너무 걱정스러운 마음에 어떻게 해줘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어요. 아기가 하는 행동마다 말로 설명을 해줬고,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말을 해주며, 아기가 옹알거리는 말을 단어로 교정해서 말해주었어요. 그랬더니 조금씩 느는 모습이 보여요. 지금은 '코'를 말하면 자신의 코를 가리키고, 엄마, 아빠는 정확하게 누구인지 알고 말로도 해요. 해왔던 방식대로 꾸준히 가르쳐 주어야겠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육아] 우리 아기, 언제까지 입에 다 집어넣을까요?

 

[육아] 우리 아기, 언제까지 입에 다 집어넣을까요?

언제까지 입에 다 집어넣을까요? 구강이 언제 끝나요? 대학 시절 보육 수업을 들으면서 정말 많이 들은 학자 이름, 프로이트예요. 대학 시절에는 나랑 상관없는 이야기라 생각하며 참 어렵게 공

harder-than.tistory.com

[REVIEW] 르베르 S 유모카(트라이크) 뽕 뽑는 육아템, 추천하는 이유

 

[REVIEW] 르베르 S 유모카(트라이크) 뽕 뽑는 육아템, 추천하는 이유

르베르 S 유모카(트라이크) 뽕 뽑는 육아템 절충형 유모차와 휴대용 유모차를 가지고 있던 저는 더 예쁘고 가볍고 휴대가 편안한 육아템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던 찰나, 비슷한 또래를 키우는 엄

harder-than.tistory.com

[REVIEW] 2024년 육아 휴직 6+6 제도, 사후 지급금은?

 

[REVIEW] 2024년 육아 휴직 6+6 제도, 사후 지급금은?

2024년 육아 휴직 6+6 제도, 사후지급금은? 기존에 있던 3+3 육아휴직제도가 2024년이 되면서 6+6으로 개편되었어요. 저는 작년 5월부터 육아휴직, 남편은 올해 2월부터 육아휴직 중이라 이 제도를 이

harder-than.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