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보다 일찍 태어난 아기는 폐가 미성숙한 상태로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수개월간 호흡 보조나 산소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아기의 약한 폐는 손상을 입기 쉽고 이른둥이에서 폐 관련 질환은 흔한 편입니다.
-호흡 곤란 증후군 : 재태기 간 약 25주가 되면 태아의 폐는 산소를 혈액으로 운반하기 시작하고, 약 35~38주에 호흡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점액성 물질인 계면활성제가 분비됩니다. 계면활성제는 폐포막을 코팅하듯 둘러싸고 허파꽈리의 표면 장력을 유지해 열린 상태가 되게 합니다. 계면활성제가 부족하면 숨을 내쉬는 호기 시에 허파꽈리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무기폐가 되고 허파꽈리에서 산소 교환이 일어나지 않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합니다. 재태기 간 28주 이전에 태어난 이른둥이에서 출생한 당일 또는 그다음 날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기 쉽고 재태기간이 낮을수록 발생률은 높습니다. 호흡 곤란 증후군을 겪은 이른둥이의 15% 미만에서 발달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기관지 폐 이형성증 : 조산으로 태어난 아기들은 기관지 폐 이형성증이라는 만성 폐질환에 이환될 위험이 높습니다. 미성숙한 폐, 감염, 28일 이상의 고농도 기계적 환기가 기관지 폐 이형성증의 주된 원인입니다. 허파꽈리가 찢어지거나 신장하여 반흔 조직이 생기고 과대 팽창 또는 비후해지므로 허파꽈리의 수가 줄고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어려워집니다. 기관지 폐 이형성증의 증상은 가슴 근육을 강하게 끌어당기며 숨쉬기, 호흡수 증가, 기침, 먹기의 어려움 그리고 천명 등이 있습니다. 기관지 폐 이형성증 아기는 호흡에 많은 에너지와 열량을 소비하므로 각별한 영양 관리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만삭아와 비교해서 1.5~2배의 열량이 필요합니다. 빨기, 삼키기, 호흡, 위식도역류증이 동반될 위험이 있어 제대로 영양이 공급되지 않으면 신체 성장이 지연될 수 있고 신체 활동량이 부족한 결과 발달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 : 뇌실 주의 백질 연화증은 조산아에게서만 발생하는 뇌 손상으로, 임신 32주 이전은 특히 뇌와 신경아교세포가 손상에 취약한 시기로 신경학적 손상을 위험이 높습니다.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은 뇌실 주변 백질 조직에 혈류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연화가 일어나고 조직이 괴사 하는 것을 말합니다. 뇌실 주의 백질 연화증은 혈류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한 조산, 뇌실내출혈 제3 또는 4단계, 일시적 산소 결핍, 수막염, 경기, 무호흡 그리고 느린 맥 등을 위험 요인으로 봅니다.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의 위험이 있는 조산아는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뇌 초음파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출생 후 약 2~8주가 지나서 진단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뇌 초음파는 한 번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뇌실 주의 백질 연화증이 심할수록 인지 또는 운동 장애가 심할 수 있습니다. 후두엽 쪽 뇌 조직이 손상을 입으면 시각 기능, 이마엽이 손상되면 지적 기능, 뇌실 양쪽 주변이 손상되면 운동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신경 섬유가 침범된 경우, 뇌의 여러 부위 간의 정보 전달, 움직임, 협응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실내출혈 : 32주 미만 또는 출생 시 체중 1,500g 미만의 이른둥이에서 뇌실내출혈은 빈번합니다. 미성숙한 외 정맥의 파열로 발생하며 연쇄 반응으로 뇌의 신경 세포가 손상됩니다. 미성숙한 뇌 정맥의 파열로 발생하며 연쇄 반응으로 뇌의 신경 세포가 손상됩니다. 뇌실내출혈의 증상은 적혈구 감소, 빈혈, 심하게 울기 등입니다. 뇌실내출혈의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 맥관의 발달 과정에서 혈관이 충붆이 발달하지 못하고 취약한 것을 위험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출생 첫날 뇌의 미성숙한 혈관이 겪는 부하가 너무 커서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미숙아 망막 병증 : 망막은 시각상이 맺히는 곳으로 미숙아 망막 병증은 망막에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눈 질환입니다. 망막 내의 혈관은 재태기간재태기 간 약 16주에 발달하게 시작해서 만삭 출생 직후까지 계속해서 발달합니다. 조산으로 미성숙한 망막 부위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성되어 미숙아 망막 병증이 발생합니다. 미숙아 망막 병증의 유발 요인으로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장기간 고농도 보충 산소치료를 들 수 있습니다. 미숙아 망막 병증은 조산 시기에 상관없이 재태기 간 약 37주경에 발생하며 출생 시 체중이 적을수록 발생 위험이 큽니다.
-청각 소실 : 신생아 선천성 난청은 발생률이 높은 질환으로 1,500g 미만 이른둥이에게 그리고 호흡 보조장치 치료를 받은 경우에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조기에 청각 장애를 발견하지 못하면 언어 및 학습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는 횡격막이 하부 식도 조임근을 끌어당겨 위와 식도 이음부가 벌어지고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입니다. 대개 생후 첫 8개월까지는 위 식도 역류가 있을 수 있지만, 심한 경우 더 오래 지속되기도 합니다. 위 식도 역류의 증상은 잦은 구토, 우유 먹고 보채기, 우유 거부, 평균보다 작은 수유량, 우유 먹으면서 숨 참기, 체중 감소와 잦은 호흡기 감염 등입니다. 의학적 진단으로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식도 내압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이 있습니다.
출처 : 이른둥이 운동 발달 가이드북
[육아] 이른둥이의 인지 발달과 사회성 발달 (0) | 2024.01.08 |
---|---|
[육아] 이른둥이 운동 발달의 질적 문제(2) (0) | 2024.01.08 |
[육아] 이른둥이 운동 발달의 질적 문제 (1) (0) | 2024.01.08 |
[육아] 영유아기 운동 발달의 기본 개념과 용어 설명 (0) | 2024.01.08 |
[육아] 아동의 시기별 운동 발달 알아보자 (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