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육아] 영유아기 운동 발달의 기본 개념과 용어 설명

육아

by 뚜리뚜바비 2024. 1. 8. 09:00

본문

영유아기 운동 발달의 기본 개념과 용어 설명

 

 

 

 운동 발달의 목표

한 개인이 의미 있는 삶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운동 기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운동 발달이 필수적입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력 환경에서 몸을 조절함 - 일상생활에 필요한 항 중력적, 기능적 자세와 움직임의 발달

- 균형의 발달 - 지지 면적 내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뒤집기, 앉기, 서기, 걷기 같은 운동 기술은 균형이 발달한 결과

- 움직임의 다양성 획득 - 목적에 맞게 꼭 필요한 신체 부위만 사용해서 적합한 자세와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으로 몸 분절 간에 분리, 회전, 체중 이동, 운동 학습의 결과

- 목적 있는, 기능적 움직임의 발달

 

 

 

 움직임의 양적 및 질적 발달

움직임의 발달, 운동 기술의 획득, 발달 이정표의 획득은 모두 같은 뜻이며 양적·질적 발달로 이뤄집니다. 뒤집기, 앉기, 네발 기기, 걷기 등이 새롭게 출현하고 발달하는 것이 움직임의 양적 발달입니다. 아이를 키워본 경험이 있다면, 아기가 처음 기기 시작했을 때, 걷기 시작했을 때의 모습은 서툴지만, 연습을 통해 점점 예쁘고 자연스럽게 기고 걷게 된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움직임의 질적 발달은 얼마나 자연스럽게 움직이느냐의 관점으로 "예쁘게 앉을 수 있다", "예쁘게 걸을 수 있다"와 같이 움직임의 패턴에 관해서입니다. 아이의 운동 발달은 계단식으로 이뤄집니다. 양적인 운동 기술의 출현 후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연습을 통해 질적 요소를 채워가면서 성숙한 운동 기술로 발달합니다.

 

 

 

 움직임의 방향

움직임에는 방향이 있습니다. 앞쪽, 뒤쪽, 위, 아래, 내측, 외측, 근위부, 원위부 등의 용어를 사용합니다.

 

 

 

 운동 면과 운동 축

우리 몸에는 시상 면, 이마면, 수평면 등 세 개의 운동 면과 운동 축이 있어 관절마다 움직이는 방향과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우리의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것은 여러 관절이 삼차원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운동 발달 관련 용어

운동 발달 이정표 또는 운동 과제와 같은 용어로 나이에 맞게 발달하는 자세와 움직임을 말하는 '운동 기술'과 중력 환경에서 이뤄지는 얼굴 및 목, 몸, 팔과 다리 등의 움직임, 즉 우리의 일상적인 움직임, 발달 초기에는 누워서 팔과 다리가 점차 바닥에서 들려 몸 가운데로 모이고, 차차 중력을 이기면서 선 자세로 발달한다는 '항 중력적 움직임'이 있습니다. 또한 '미드라인'은 신체 중심선과 같은 용어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몸 가운데를 지나는 가상의 선을 말합니다.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계통

1. 신경계통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며 중추신경계는 다시 뇌와 척수로 나뉩니다. 뇌에서 뻗어 나온 작은 신경들이 우리 몸을 구성하는 약 650개의 근육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임신 5개월 아기의 뇌 무게는 어른 뇌 무게의 약 4%에 불과하지만, 출생 시기가 되면 25%, 그리고 4세가 되면 약 80%에 해당합니다. 대뇌피질은 구불구불한 형태로 발달하므로 표면적이 많이 늘어납니다. 뇌의 기본 구조는 대뇌피질, 소뇌, 뇌줄기로 척수와 연결됩니다. 대뇌피질의 앞부분은 전두엽, 뒤는 후두엽, 옆은 측두엽, 맨 위는 두정엽입니다. 대뇌피질은 사람의 복잡한 움직임과 인지 과정을 조절하는 중추입니다. 운동 기술의 발달에 중요한 근육의 조절은 뇌의 피질에서 척수까지 이어지는 긴 신경이 담당합니다. 대뇌피질에서 중뇌, 연수, 첫수를 거쳐 골격근에 신경 신호가 전달되면 근수축이 일어나 자세와 움직임을 수행하게 됩니다.

 

2. 근육·골격계통

기능적 운동 기술의 발달에는 근육, 뼈, 신경 근육 연결부, 관절, 그리고 건/인대/근막 같은 연부 조직이 작용합니다. 출생 후 다양한 경험과 여러 요인이 근육·골격계통의 구조와 기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3. 감각 계통

자세 조절, 예를 들어 똑바로 선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신경, 근육, 뼈, 관절 등의 작용이 필수적인 것처럼 감각 계통의 피드백 역시 정확한 움직임의 수행을 위해 필요합니다.

 

 

 

 운동 조절 이론

운동 조절은 움직임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를 조절하는 능력으로 정의됩니다. 우리의 움직임은 근육, 신경, 뼈, 관절, 중력, 제도, 서비스, 가족, 빛, 소리, 신체 길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상호 작용으로 발달합니다. 신경 성숙 이론, 역동 체계 이론, 생태학적 이론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유아와 아동에게 맞는 이해와 접근이 필요합니다. 신경 성숙 이론의 핵심은 유아기 대 운동 기술의 변화는 전적으로 중추 신경계의 신경학적 성숙에서 비롯된다는 것으로 중추 신경계의 영향은 환경이 미치는 그 어떤 작용보다도 우세하다는 관점입니다. 역동 체계 이론은 대 운동 기술의 양적, 질적 발달이 가능해진다는 관점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필요한 운동 기술의 반복적인 연습을 강조합니다. 생태학적 이론은 환경과 목표 지향적 행위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써 움직임이 조직화한다는 이론입니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 이론을 통합해 보면 뇌와 근육의 발달, 환경, 연습이 서로 작용하며 아동기 운동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른둥이를 위한 운동 기술의 학습 원칙

새로운 운동 기술을 연습시킬 때는 아이의 능동적 참여를 최대한 유도합니다. 아이의 흥미를 유도해 체중 지지 및 체중 이동을 촉진합니다. 무한 반복해서 연습시킵니다. 일상적인 아기 돌보기와 운동을 통합시킵니다. 또래와 함께 할 시간을 갖게 합니다. 아기에게 끊임없이 반응합니다. 아이가 잘하는 것을 먼저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기대합니다. 유아기 운동 발달은 매우 다양합니다. 조급한 마음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출처 : 이른둥이 발달 가이드북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