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출산] 내가 겪은 임신중독증과 고위험 산모 의료비 지원

육아

by 뚜리뚜바비 2024. 1. 25. 14:29

본문

 

저도 이게 제 일이 될 줄은 몰랐어요. 갑자기 혈압이 높아지고 위경련이 생기고... 단백뇨가 나오고. 임신중독증이 이렇게 무서운 일이란 걸 겪고 나서 알게 됐어요. 이번에는 제가 겪은 임신중독증과 이 질병에 대한 국가 지원에 대해 적어볼게요.

 

 

 

 

임신중독증이란?

전자간증이라고도 불리는 임신중독증은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을 말해요.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이란 임신 중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라 할 수 있어요. 임신 전부터 고혈압이 있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는 만성 고혈압이라고 하고, 임신 20주 이후에 새로이 고혈압이 발견되고 출산 후에 정상화되는 경우 임신성 고혈압이라고 한대요. 고혈압과 동반되어 소변에서 단백 성분이 나오거나 (소변에 거품이 생겨요) 혈소판 감소, 간 기능 저하, 신장 기능의 악화, 폐부종, 두통, 흐린 시야 등의 동반 증상이 생기면 전자간증 또는 자간전증이라고 하며 질병이 더 진행한 형태예요. 태반 및 태아로의 혈류 공급에 장애가 발생하여 태아의 성장 부전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태아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해요. 임신 주차에 비해 태아가 작다면 의심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내가 겪은 임신중독증 타임라인

30주 차

임신 후에도 긴장성 혈압이 높아 항상 가정 혈압계로 혈압을 재고 담당의에게 확인을 시켜주었어요. 30주 차가 되자 집에서도 혈압이 높아졌고, 담당의에게 전달했어요. 근처 내과로 가 진단을 받고 임산부 복용이 가능한 아달라트를 복용했어요. 약으로도 딱히 혈압이 잘 잡히지 않았어요.

 

33주 차

저는 입덧을 꽤 오래 해 33주까지도 입덧을 했었어요. 33주부터 휴직에 들어가 집에서 쉬며 하루하루를 보냈었고, 다른 엄마들처럼 아기 손수건을 세탁하고 물건을 정리하며 시간을 보냈어요. 입덧이 조금 잦아져 저녁으로 김치찌개를 먹고 아이스크림을 먹고 난 후 갑자기 복통이 오기 시작했어요. 명치 부분을 누가 쥐어짜는 듯이 아팠고, 복통은 3시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아 식은땀을 흘리며 배를 잡고 굴렀어요. 구토도 1회 했습니다. 다니던 병원(동네 산부인과)의 분만 응급실로 내원했고, 수액을 맞으며 임신중독증 검사를 받았어요. 혈압은 180/130 정도였어요. 위경련은 며칠이나 계속되어 거의 아무것도 먹지 못했어요.

 

34주 차 3일

정기검진일에 임신중독증 검사 결과를 들었어요. 급성으로 진행된 거라 지금 당장 대학병원으로 전원을 하라고 했어요. 일산 차병원으로 전원을 알아봤는데 (저 자신도 임신중독증 의심이 되어 미리 알아봤어요) 당일엔 진료가 어렵고, 고위험 산모라 다음 날 아침 진료로 예약을 잡아주셨어요. 내가 고위험 산모라니? 하며 별생각 없었어요. 하지만 집에 와서 입원 짐을 주섬주섬 챙겼습니다.

 

34주 차 4일

일산 차병원 산부인과 진료 전 혈압을 쟀더니 170/130 정도가 나왔고, 담당의는 진료실에서 혈압을 한 번 더 재주셨어요. 180이 넘었어요. 당장 분만실로 입원해야 했고, 경과를 살핀다고 하셨어요. 저는 몰랐는데 아기가 자궁 내 성장지연이라 이때 1.4kg으로 아주 작았어요. 입원 후 혈압을 낮추는 약물과 약을 먹었지만 잠깐 떨어졌다가 다시 오르기를 반복했고, 진통이 시작됐어요. 혈압은 잡히지 않아서 180~160/130 정도. 새벽 4시쯤이 되자 시야가 흐려졌어요. 진통이 시작됐고 혈압이 잡히지 않아 오전 7시 첫 수술로 응급 제왕을 했습니다. 아기는 1.43kg으로 태어났어요.

 

 

 

고위험 산모 의료비 및 조산아 지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보건소)

- 대상 :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 받은 임산부

출처 : 보건소

 

- 지원 내용 : 입원 치료비 중 전액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 90%

- 지원 한도 : 1인당 300만원까지 지원(제외 : 입원료, 식대, 한방 치료 진료비, 고위험 임신 질환과 관련 없는 진료비, 보조기, 의료기기, 의료소모품 구입비 등)

- 신청 기간 :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신청 방법 : 임산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온라인 e 보건소 공공보건 포털, '아이 마중' 앱 신청

- 구비서류

 1. 진단서 1부(진단 일자, 질병명 및 질병코드 포함)

 2. 진료비 영수증 및 세부 명세서 각 1부

 3. 입 퇴원확인서 (진단서에 입,퇴원일 기재의 경우 생략 가능)

 4. 임산부 신분증 및 입금 계좌 통장 사본 1부

 5.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제출 시)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및 납부확인서 생략 가능

 6. (필요시) 휴직 증명서 및 급여명세서, 가족관계증명서, 사업자등록증명원 

 

 

 

 

 

아플 땐 집에서 (저처럼) 검색만 하지 마시고 당장 병원으로 달려가세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